전신 위상각(Phase Angle) 정상범위

전신 위상각은 체성분이 아닌 ‘세포 건강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 수치는 다음을 반영합니다:

  • 세포막의 무결성(integrity): 세포가 얼마나 건강한 상태인지
  • 세포 내외 수분 균형: 탈수 또는 염증 상태 여부
  • 근육의 질(Quality of Muscle): 양뿐만 아니라 ‘질’
  • 영양 상태와 면역력

따라서 위상각은 질병 회복력, 노화 진행 속도, 운동 효과 등과 관련된 바이오마커로 활용됩니다.

📚 전신 위상각 기준범위

1. Barbosa‑Silva et al., Am J Clin Nutr. 2005

브라질 건강 성인 18-94y, 1,967명을 대상으로 전신 PhA의 평균값과 나이·성별에 따른 분포를 제시했습니다.

  • 남성 평균: 7.48 ± 1.10°
  • 여성 평균: 6.53 ± 1.01°
  • 나이가 증가할수록 PhA가 감소하며, BMI가 높고 체지방률이 낮을수록 PhA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Barbosa-Silva, M. C. G., Barros, A. J., Wang, J., Heymsfield, S. B., & Pierson Jr, R. N. (2005).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population reference values for phase angle by age and sex.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82(1), 49-52.


2. Bosy‑Westphal et al., JPEN J Parenter Enteral Nutr. 2006

15,605명의 어린이와 청소년과 214,732명의 성인으로 구성된 대규모 독일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성별과 연령대별 PhA 분포를 분석하였습니다.

  • 성년기(성인초기): 남성 ≈ 7.3°, 여성 ≈ 6.4°
  • 이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완만히 감소하는 형태를 보였습니다 .

Bosy-Westphal, A., Danielzik, S., Dörhöfer, R. P., Later, W., & Wiese, S. MJ Müller Phase angle from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Population reference values by age, sex, and body mass index., 2006, 30. DOI: https://doi. org/10.1177/0148607106030004309. PMID: https://www. ncbi. nlm. nih. gov/pubmed/16804128, 309-316.


3. Mattiello et al., Clin Nutr. 2020

건강한 전 세계 인구 249,844명을 대상으로 성별·연령별 전신 위상각(PhA) 기준값을 제시한 시스템 리뷰 및 메타분석 연구로,

1. 남성 PhA 평균값

  • 0–2세: 3.6° (95% CI: 3.0–4.1)
  • 16–18세(청소년기): 7.3° (95% CI: 7.0–7.5)
  • 19–38세(성인 초기): 약 6.9–7.2°
  • 80세 이상(고령): 5.3° (95% CI: 4.5–6.0)

2. 여성 PhA 평균값

  • 0–2세: 3.7° (95% CI: 3.2–4.3)
  • 16–18세(청소년기): 6.4° (95% CI: 6.1–6.8)
  • 18–48세(성인): 안정적인 평균값
  • 80세 이상(고령): 5.4° (95% CI: 5.3–5.6)
  • 성별 차이: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남성 PhA가 여성보다 높았으나, 영아(0–2세)와 80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큰 차이 없음

추이 해석

  • PhA의 패턴:
    • 영아 → 점진적 증가
    • 청소년에 정점 (남: ~7.3°, 여: ~6.4°)
    • 성인에 안정화된 수치 유지
    • 고령에 이르러 다시 점진적으로 감소
  • 해석: 성장기에 세포막 무결성과 근육량 증가로 PhA 상승 → 성인기에 안정 → 노화와 함께 세포막 변화 및 근육 감소로 감소

결론론

  • PhA 이상적인 범위: 일반적으로 5° 이상, 성별 및 연령에 따라 최대 9° 내외까지 존재하며,
  • 전체적으로 성인 평균 PhA는 남성 약 6–7°, 여성 약 5–6° 사이인 것으로 보고했습니다.

Mattiello, R., Amaral, M. A., Mundstock, E., & Ziegelmann, P. K. (2020). Reference values for the phase angle of the electrical bioimpedanc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volving more than 250,000 subjects. Clinical nutrition39(5), 1411-1417.


✅ 요약 정리

문헌남성 평균 PhA여성 평균 PhA
Barbosa‑Silva et al. (2005)7.48 ± 1.10°6.53 ± 1.01°
Bosy‑Westphal et al. (2006)≈ 7.3°≈ 6.4°
Mattiello et al. (2020)약 6–7°대체로 5–6°
  • 정상 범위:
    • 남성: 대략 6.5° ~ 7.5°,
    • 여성: 약 5.5° ~ 6.5°,
    • 나이가 들거나 영양/체수분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5° 이하로 낮아질 수 있음.

  • BMI, 연령, 체지방률, 세포막 건강도 등의 생리학적 특성에 따라 개인차가 존재하므로, 절대값보다 개인 변화 추이를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동을 해도 눈에 띄는 변화가 없다고 느껴질 때,
혹은 체중만으로 건강을 판단하기엔 어딘가 부족하다고 느껴질 때,
이제는 우리 몸속 ‘세포의 목소리’에도 귀 기울여보면 어떨까요?

위상각(PhA)은 숫자 하나지만,
그 안에는 근육의 질, 세포의 힘, 회복력 같은
당신의 진짜 건강 상태가 담겨 있습니다.

오늘 하루,
몸을 조금 더 움직이고, 단백질도 한 스푼 더 챙기고,
무엇보다 내 몸을 건강하게 돌보는 마음 하나 더해보세요.

당신의 위상각은,
분명히 천천히, 하지만 단단하게 올라갈 것입니다.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건강도 함께 지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