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기 자녀, 가족과 함께 활동하면 관계가 좋아짐

가족과 함께하는 신체활동, 관계를 회복하는 작은 실천

“요즘 아이가 점점 말수가 줄고, 대화가 잘 안 돼요.”
“같이 뭔가 하려고 하면 어색하고, 어쩐지 서로 피하게 돼요.”
혹시 이런 고민, 해본 적 있으신가요?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라면 한 번쯤 느껴봤을 관계의 거리감.
이 시기에는 부모와 자녀 모두 변화의 한가운데에 서 있기 때문에, 사소한 오해도 쉽게 갈등으로 번지기 마련입니다.
그렇다면, 가족이 함께하는 신체활동이 이 관계의 ‘돌파구’가 될 수 있다면, 믿어지시겠습니까?


과학이 말하는 가족 운동의 효과

2020년, 심리학 저널 Journal of Family Psychology에 실린 Smith 연구팀의 체계적 문헌 고찰에 따르면, 가족 기반의 신체활동이 부모와 청소년 간의 관계 질을 향상시키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이 연구는 무려 30개 이상의 연구를 종합 분석한 이 논문은, 단순한 ‘운동의 효과’를 넘어, 정서적 유대상호작용의 질까지 눈에 띄게 좋아질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어떤 활동이 관계를 바꾼 걸까요?
핵심은 다음 세 가지에 있습니다:

  1. 함께 움직이기
    단순히 같은 공간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함께 몸을 움직이며 동일한 목표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유대감이 자연스럽게 형성됩니다.
  2. 대화의 계기 만들기
    조깅, 배드민턴, 자전거 타기처럼 반복적인 움직임이 있는 활동은 자연스러운 대화를 유도합니다. 어색함이 덜하고, 가벼운 이야기로 시작해 마음이 열리기 쉽습니다.
  3. 감정 조절 능력 향상
    신체활동은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감정 표현을 부드럽게 만들어줍니다. 부모나 자녀 모두 감정 기복이 잦은 시기라면, 이는 큰 도움이 됩니다.

운동을 통해 가족은 어떻게 변화했을까?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족 기반 신체활동에 꾸준히 참여한 경우 다음과 같은 변화가 관찰되었습니다:

  • 부모와 자녀 간 의사소통 빈도 증가
  • 감정 표현에 대한 개방성 향상
  • 일상 속 갈등 상황에서의 감정적 대응 감소
  • 전반적인 가족 응집력 증가

이러한 결과는 단순히 ‘운동이 좋다’는 수준을 넘어서, 관계의 회복과 유지에도 운동이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강력한 근거가 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누구나 부담 없이 실천할 수 있는 방법부터 소개드리겠습니다.

  • 주 2~3회, 30분 산책부터 시작
    말없이 함께 걷는 것만으로도 심리적 동기화가 이루어집니다. 중요한 건 규칙성입니다.
  • 가볍게 경쟁 요소를 포함한 활동 선택
    탁구, 배드민턴, 캐치볼처럼 소소한 경쟁이 있는 활동은 재미를 더하고 유대감을 촉진합니다.
  • 운동 후 소감 나누기
    짧게라도 “오늘 어땠어?”라는 질문을 던져보세요. 운동 후 몸이 이완된 상태에서는 감정도 더 쉽게 흘러나옵니다.

요약하며

  • 가족 간 신체활동은 관계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 특히 청소년 자녀와의 유대감 형성, 감정 조절, 갈등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 함께 움직이는 작은 실천이, 생각보다 더 큰 변화를 가져옵니다.

관계는 대화만으로 회복되지 않습니다.
함께하는 ‘행동’이 말보다 더 깊은 메시지를 전합니다.

오늘, 가족과 함께 가볍게 한 걸음 내디뎌보는 건 어떨까요?

Rhodes, R. E., Hollman, H., & Sui, W. (2024). Family‐based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and family functioning: a systematic review. Family Process63(1), 392-413.